Chemical / / 2024. 10. 21. 15:49

아이들의 아침 시리얼 선택 시 주의해야 할 사항.

반응형

3일 전 미국 내에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시리얼 제조사인 K사에 대한 미국에서의 시위가 있었습니다. 해당 기사내용에서는 미국 내에서 판매 중인 제품과 캐나다와 판매 중인 제품에 대한 성분 및 함량에 대한 표시사항 대한 상대 비교가 있었습니다. 여기서 논의되는 물질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기사 출처: 미국 [포츈, Fortune 지]의 사설 [FORTUNEWell]

    *기사 명 및 링크: K****** is under fire for using artificial food dyes. 
    Here’s how they may affect your health and where else to find them

    [K사는 인공식용색소를 사용해서 질타를 받고 있습니다. 이 물질이 당신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며, 어디에서 이 물질을 찾아 볼 수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문제는 RED 40,

    시리얼의 성분함량테이블에 작성되어진 RED 40을 보시면 구매하시는데 고려가 예상이 됩니다.

     

    RED 40의 유의 식별 표시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Red 40 Lake

      FD&C Red No.40

      FD&C Red No. 40 Aluminum Lake
      Allura Red AC
      CI Food Red 17
      INS No. 129
      E129

      Cas No.  25956-17-6

     

    해당 화학물질등록번호로 EU에서 검색 시, PBT로 의심하고 있는 물질입니다 말 그대로, 정확한 실험 결과와 그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타나진 않은 상태입니다. 다만 ECHA에서는 해당 물질에 대  한 실험 결과중 특정 현상이 해당 물질이 PBT로 의심이 있다.라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말을 다르게 인식/이해하면, 정확하지 않는 물질을 사용해도 되는가? 이 부분은 화학 물질의 사용에 따라 항상 따라오는 딜레마와 같은 내용이여서 이 글을 읽는 모든 분께서는 해당 내용은 인지하셨으면 합니다.

    PBT란?

    PBT는,  Persistent, Bioaccumulative and Toxic의 줄임말 입니다.

    Persistent : 잔류성,Bioaccumulative, 생체에 누적이 되며, and Toxic, 독성을 가진 물질입니다.

     

    미국과 유럽의 다른 견해

     

    미국과 유럽은 각각 개별의 화학물질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보유 중입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PubChem이라는 미국 국립보건원 (NIH)의 국립의학도서관(NLM)에서 운영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화학정보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무료로 접근가능 하며 유용한 웹사이트입니다.

    https://pubchem.ncbi.nlm.nih.gov/compound/33258

    [Allura Red AC, RED 40  검색 기록]

     

     

    유럽의 경우에는, ECHA라는 유럽화학물질청의 약자로, 유럽 연합의 화학물질 관련 법규를 시행하는 핵심기관입니다.

    https://echa.europa.eu/substance-information/-/substanceinfo/100.043.047

     

    Substance Information - ECHA

     

    echa.europa.eu

    [Allura Red AC, RED 40  검색 기록]

     

    이 두 곳의 데이터가 왜 이렇게 차이가 날까요?

     

     독성 데이터를 확인해 보아도, PubChem에서는 이 화학물질에 대한 조금 더 위험하게 받아 드려야 하는데요. 

    LD50 출처: PubChem 출처: ECHA
    시험군 노출경로 노출량 노출경로 노출량
    구강 >5mg/kg    
    토끼 피부 >10gm/kg    
    구강 >10gm/kg 구강 >10,000mg/kg bw

     

    [출처: PubChem의 세부 Reference]

    개 - Compound CID: 33258,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27(701), 1989 [PMID:2613117]

    토끼 - Compound CID: 33258,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27(701), 1989 [PMID:2613117]

    쥐 - Compound CID: 33258,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27(701), 1989 [PMID:2613117]

     

    이렇게 신뢰할만한 기관에서조차 소비자에게 혼란을 줄 때는 가장현명한 위험에 대한 대처방법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겠죠.오늘도 해당 뉴스를 읽어보고, 인터넷에 해당 제품을 살펴보니 쿠팡, 지마켓 등에서 해외직구로 구매를 하시던라고요. 해외 직구 로켓배송의 힘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다른 연관된 기사에서는 해당 물질 RED 40 이 다른 국가에서는 규제로 인하여 진입 금지/허가 금지 물질로 지정이 되었다고 하는데, 틀리기도 하고 맞기도 한 내용입니다. 이유는, 해당 식품  라벨에 "어린이의 활동 및 주의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문구 표시 의무화가 있으니 사실 팔지 말라는 이야기 이죠. 

    국가 규제 내용 최대 허용량 사용 제한 주요 참고 사항
    EU - Regulation (EC) No 1333/2008에 따라 식품 첨가물로 승인 - Commission Directive 95/45/EC에 명시된 순도 기준 준수 필요 - ECHA에서 PBT 의심물질로 분류 - 다양한 식품 카테고리에 따라 상이 (예: 음료 50mg/L, 과자 100mg/kg) - 특정 식품 (예: 유아식, 미가공 식품)에는 사용 금지
    - 2008년 이후 일부 연구에서 안전성에 대한 우려 제기 - 사용 시 라벨에 "어린이의 활동 및 주의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문구 표시 의무화
    미국 - FDA에서 식품 첨가물 (FD&C Red No. 40)로 승인 - 다양한 식품 카테고리에 따라 상이 (예: 음료 70mg/L, 캔디 150mg/kg) - 특정 식품 (예: 유아식, 육류)에는 사용 금지
    - 일부 소비자 단체에서 안전성에 대한 우려 제기 - 과잉 행동 장애와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
    일본 - 식품위생법에 따라 식품 첨가물로 승인 - 다양한 식품 카테고리에 따라 상이 (예: 음료 50mg/L, 과자 100mg/kg) - 특정 식품 (예: 유아식, 생선)에는 사용 금지
    - 사용량 및 사용 범위에 대한 규정 준수 필요
    한국 - 식품위생법에 따라 식품 첨가물 (적색 40호)로 승인 - 다양한 식품 카테고리에 따라 상이 (예: 음료 30mg/L, 아이스크림 70mg/kg) - 특정 식품 (예: 유아식, 천연 식품)에는 사용 금지
    -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사용 기준 및 규격 설정

     

    이 RED40은 어디서 찾아볼 수 있나요?

    해당 물질은,

     어린이의 우유, 요구르트

     푸딩/젤리

     아이스크림

     캔디 및 검

     케이크와 빵

     아침식사용 시리얼

     음료수 (스포츠 및 파워드링크 류)

     

     

    대한민국의 조사결과

    2006년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알루라 레드 AC (R40), 타르트라진 (Y4), 선셋 옐로우 FCF (Y5), 아마란스 (R2), 브릴리언트 블루 FCF (B1)와 같은 식용 색소의 혼합물이 식품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개별 타르 식용 색소는 일일 섭취 허용량 (ADI)을 기준으로 관리되지만 이러한 첨가제의 혼합물이 식품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명확한 정보는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 단계의 바이오 마커인 신경 전구 세포 (NPC) 독성과 성인 중추 신경계 (CNS) 기능을 나타내는 신경 발생에 대한 R40, Y4, Y5, R2 및 B1의 단독 및 혼합 사용의 효능을 조사했습니다. R40과 R2는 발달 중인 CNS 모델에서 마우스 다능성 NPC의 증식과 생존력을 감소시켰습니다. 마우스 모델에서 테스트한 여러 조합 중 한국의 평균 일일 섭취량보다 1000배 높은 Y4와 B1의 조합은 성인 마우스 해마에서 새로 생성된 세포의 수를 현저히 감소시켜 해마 신경 발생에 대한 강력한 부작용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R40과 R2를 포함한 다른 조합은 치아 이랑에서 성인 해마 신경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증거는 발달 NPC 및 성인 해마 신경 발생을 사용하는 위험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타르 식용 색소의 단독 및 혼합 사용이 안전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용량의 Y4와 B1 조합에 대한 반응은 성인 해마에서 NPC의 증식을 억제하는 상승 작용을 시사합니다. 데이터는 타르 색소의 조합이 발달 및 성인 해마 신경 발생 모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러한 첨가제 조합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출처: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15287390903212816]

     

     

    현재 상황

    에바 멘데즈라는 분이 계십니다. 2 FAST 2 FURIOUS, 고스트라이더 등 필모를 가진 배우분께서 인스타그램에서 직접 해당 멘트를 하고 계십니다. 아마도 이 시국에 뉴스에 기재될 정도로 인플루언서인가 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