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한국사람은 사실 관심이 없습니다. 왜 미국 대통령이 국경에 대한 폐쇄성 높은 정책을 실행하려는 지요.
제 주변에 어떤 분들은 쇄국정책을 실시하였던 조선사람을 불러내기도 했습니다.
목차
얼마 전, 그러니깐 얼마 전 아무 생각 없이 좀비에 대한 키워드로 Youtube에서 검색했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필라델피아의 한 거리를
Ulul Albab이라는 유튜버가 개인차를 타고 촬영을 합니다.
관련링크: https://youtu.be/VuUIGbz8EK0?si=WP1_obv5spVkzUeH
혹시라도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말씀드리자면, 미국은 땅이 엄청, 어엄청 넓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매체들의 도움이 없이는 어떤 특정한 지역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모든 미국 시민이 절대 알 수가 없습니다.
펜타닐의 기원
펜타닐은, 1959년 벨기에의 의학박사이자 제약회사인 얀센 파마슈티카의 설립자인 폴 얀센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모르핀 보다 더욱 강력하고 빠른 진통제를 찾기 위한 연구를 통해 만들어졌습니다. 생리학적인 데이터로는 50~100배 정도의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왜 중국인가? 그리고 멕시코인가?
중국은 세계적인 화학 제품 생산 기지입니다. 웬만한 모든 화학 물질은 모두, 뭐든지 다 중국에서 만들어집니다.
유명한 Sigma Aldrich는 대놓고, Raw Material Myths:라는 문서를 통해서 Myth: Raw Materials From China Should Always Be Avoided (미신: 중국산 원재료는 사용을 회피하여야 한다)라는 글을 적어서 공지하기도 하였습니다.
네, 화학시장은 어렵습니다. 얼마 전 3M이 수조 원을 환경부담금 및 벌금으로 내어야 했습니다.
중국은, 펜타닐 제조에 필요한 전구체 물질 생산에 용이한 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전구체(Precursor)는 특정 화학 물질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반응 물질을 의미합니다. 화학반응을 통해 원하는 물질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전구체는 중간 단계의 물질로 변화하거나, 최종 생성물의 일부가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전구체들은 사실 웬만한 국가들은 개인들의 대량 구매 및 수입에 대한 모니터링이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나라라면 이러한 물질들을 취급하거나 구매하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자국 내 생산되는 모든 화학물질들을 컨트롤할 수 없습니다. 통계조사, 그리고 사용통계에 대한 지침도 없고 단순히 중국 내 수입되는 물질에 대한 개별 라이선스화된 수입자 등록 및 수입품 등록을 기준으로 관리가 됩니다. 원재료를 통한 중국 내 생산에 대한 규제가 있지만 알아낼 방법이 없습니다. 예전 중국을 통해서 화학물질을 들여오려는데, 중국 자국 내 환경 규제로 인하여 밤에 감시관이 없을 때 생산하여야 한다는 제약조건을 들었을 때 저는 어떻게 반응해야 될지 몰랐죠. 아직은 젊었던 시절이었거든요.
DEA (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마약단속국)의 공개된 정보파일을 보시면 어떻게 펜타닐이 생산이 되어 자국 내 운송이 되는지에 대한 보고서가 발행되어 있습니다.
위 내용을 보시면 왜, 멕시코 국경을 막아야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이미 전부터 인지하고 있었던 부분입니다. 다만 정책을 펼 수가 없었죠. 선택과 집중을 하였다고 보입니다. 이민정책에 대한 집중.
그리고 2024년 12월 기준으로 펜타닐로 인한 발작 및 사건 사고에 대한 자료를 바탕해서 아래 차트를 보시면,
역시, 주로 국경지역에 많은 그리고 대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펜타닐의 미국 입국 경로를 보면 캐나다도 존재합니다.
펜타닐 치사량
펜타닐의 치사량은 개인의 체중, 건강 상태, 약물 내성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2mg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매우 적습니다. 그만큼 위험합니다.
펜타닐의 피해
DEA에서 펜타닐에 대한 피해자들의 초상을 모두 모아 특별한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한국의 관심밖 미국에서는 이러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었네요.
결론
사실 해당 내용은, 트럼프를 지지하는 내용은 아닙니다. 정치는 절대악이 없고 절대선이 없습니다. 차악, 차선만이 있을뿐이지죠.
모든 정책들에 대한 결정은 후에 결과로 만들어져 후대에 인식이 될 테니 섣부른 의견을 표출하기보다는 왜 이러한 결정을 하였을까에 중점을 맞추어 글을 적었습니다. 제가 보기엔, 네 국경을 어떠한 방법을 통해서든지 통제해야 합니다.
이 어린아이를 보세요. 주변에 있다가 사망한 것 같습니다... 생후 17개월 입니다.
'Events &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Kendrick Lamar 의 TV OFF 가사 (한글) (0) | 2025.02.19 |
---|---|
DOGE, 도지 코인이 아닙니다. 정부효율성부서에 관련 (5) | 2025.02.18 |
연인을 위한 달콤한 하루, 발렌타인 데이 선물 추천 (3) | 2025.02.13 |
금 거래의 모든 것: KRX 금 거래소에서 앱까지 완벽 가이드 (0) | 2025.02.13 |
50대 가장의 현실적인 노후 준비: 노후 실손 보험,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숙제! (1)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