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 / 2025. 2. 25. 16:37

왜 CMRT 작성이 필수일까? 책임 있는 공급망 구축을 위한 핵심 도구 및 작성방법

반응형

최근 트렌드: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요구가 증가세, 공급망 관리의 중요성 부각.
특히, 분쟁 지역에서 채굴되는 광물 사용과 관련된 문제는 국제 사회 문제로 인식됨 (인권 및 여러 가지 사회적인 책임 논쟁).
이러한 배경 속에서 CMRT(Conflict Minerals Reporting Template, 분쟁 광물 보고 템플릿) 작성은 기업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입증하는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분쟁 광물 사용 규제 준수:

  • 미국, 유럽연합 등 주요 국가에서는 분쟁 광물 사용 규제를 시행.
    CMRT는 이러한 규제를 준수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
  • 기업은 CMRT를 통해 자사 제품에 사용되는 광물이 분쟁 지역과 관련 없는 합법적인 경로를 통해 조달되었음을 증명.

공급망 투명성 확보:

 

  • CMRT는 공급망 전반에 걸쳐 광물 조달 과정을 추적하고 공개하도록 요구.
    이를 통해 기업은 공급망의 투명성을 높이고, 잠재적인 위험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관리.
  • 투명한 공급망은 기업의 신뢰도를 높이고, 투자자 및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줍니다.

 

작성법:

작성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아래의 웹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https://www.responsiblemineralsinitiative.org/reporting-templates/cmrt/

 

Conflict Minerals Reporting Template

The Conflict Minerals Reporting Template (CMRT) is a free, standardized reporting template developed by the Responsible Minerals Initiative (RMI) that facilitates the transfer of information through the supply chain regarding mineral country of origin and

www.responsiblemineralsinitiative.org

 

해당 사이트에서, "Download the CMRT Template"이라고 적혀 있는 부분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클릭하시면, 사용약관에 대해서 동의를 거쳐서 엑셀파일이 하나 받아집니다.

 

잠깐만요! 한국어가 가능합니다.

한국어로 선택하시면 더욱 편하게 작성 가능합니다.


가끔 번역이 이상해서 영어를 직접 읽는 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CMRT/Declaration 탭의 언어선택 부

1. Declaration - 선언 항목

해당 탭에서는 기업정보
1-1. (1) 3TG 의도적인 사용 여부 확인 *
*주석(Tin), 탄탈럼(Tantalum), 텅스텐(Tungsten), 금(Gold) 이렇게 알파벳 T로 시작하는 3개의 광물
그리고 Gold를 말함.  공급하는 제품에 해당 물질이 의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물어봅니다.
      

 1-2. (2) 3TG의 잔여물 관리 여부

생산 공정이나 공급망을 통해 의도치 않게 혼입 되거나 남아있는 3TG 광물의 흔적이 있는지 확인하는 섹션입니다.
분쟁광물 이기에 분쟁을 야기할 수도 있죠. 제품의 최종 공급 시 해당 물질에 대한 잔여물 관리를 요청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을 거짓으로 이야기하면 안 되죠. 광물질의 공급처에서 Mill Sheet 내지는 원재료 소명 자료를 관리하고 계시다면 해당 증빙을 토대로 선언하시면 됩니다.

1-3. (3) 3TG를 SEC(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서 규제하는 곳에서
공급받고 있는지를 물어보고 있습니다. 변경된 국문을 읽어보면 누가 번역했는지 이해가 안 되죠?

 

국문은: 귀사의 공급망의 제련소가 해당국가로부터 3TG를 공급받고 있습니까? (SEC 용어, 용어정의 탭 참조)인데

영문은: Do any of the smelters in your supply chain source the 3TG from the covered countries?
직역을 하면, 당신의 공급망내 제련소가 SEC에서 규정하는 나라로부터 3TG를 공급받는가요? 를 말합니다.

 

여기서 SEC가 규정하는 나라는,

 콩고민주공화국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앙골라 (Angola)
 부룬디 (Burundi)

 중앙아프리카공화국 (Central African Republic)
 콩고공화국 (Republic of the Congo)
 르완다 (Rwanda)
 남수단 (South Sudan)

 탄자니아 (Tanzania)
 우간다 (Uganda)
 잠비아 (Zambia)
 주된 원인은: 분쟁 광물 채굴을 통한 분쟁 자금 조달(인권 유린, 폭력, 내전), SEC는 기업들이 이러한 분쟁에 
                               직간접적으로 자금을 제공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규제를 시행하게 되었답니다.

 

 1-4. (4) 고위험 지역에서 3TG를 공급받는지를 물어봅니다.
               고위험 지역이란? OECD에서 말하는 분쟁광물 실사 가이드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분쟁 및 고위험지역분쟁
무력분쟁, 광범위한 폭력 또는 사람에게 유해한 다른 위험들에 의해 확인되어진 곳이다. 무력분쟁은 국제적 분쟁 또는 해방전쟁, 내란, 시민전쟁 등으로 형성된 반국제적 특성과 같이 여러 형태를 보인다. 고위험지역은 불안정한 정책 또는 탄압, 보호시설의 나약함, 불안, 시민기반시설의 붕괴 및 광범위한 폭력 구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역은 종종 광범위한 인권학대 및 국가 또는 국제법 위반에 의해 특성화되어진다. 
참조(분쟁지역 광물의 책임있는 공급망에 대한 OECD실사가이드) :https://doi.org/10.1787/14c7ddcf-ko


              즉 해당 3TG의 공급처에서 저러한 행위들이 일어나지 않음을 보장해야 합니다. CMRT는 제조사가 구매자에게 해당 내용
              을 소명해야 하기에, 공급처에 대한 자세한 관리가 요구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규정에 의한 처벌 외에도 바로 구매자를 잃을 수도 있으니 가이드라인을 보고 공급처의 정치적 및 이벤트에 대한
              확인을 하셔서 CAHRA 지역 유무임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예시) 콜롬비아, 미얀마, 위 SEC 규정 지역들.

 

  1-5. (5) 3TG의 원천이 100% 재활용 및 폐자원 인경우 소명.

  1-6. (6) 공급업체의 공급망 설문조사에 응답한 비율을 기재.

  1-7. (7) 모든 제련소 확인 절차에 대한 확인

  1-8. (8) 공급되는 모든 3TG 물질에 대한 제련소 선언 보고 유무 확인

 

  1-9. A. 책임 있는 광물 조달 정책의 수립 여부

책임 있는 광물 조달 정책 초안 <참고본, 국문 및 영문>

1. 서론

[회사명]은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구하며, 광물 조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권 침해, 분쟁 자금 조달, 환경 파괴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책임 있는 광물 조달 정책을 수립합니다. 본 정책은 OECD 분쟁 광물 가이드라인 및 관련 국제 규범을 준수하며, 공급망 전반에 걸쳐 투명하고 책임 있는 광물 조달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적용 범위

본 정책은 [회사명]의 모든 임직원 및 공급망에 참여하는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적용됩니다. 이는 3TG(주석, 탄탈럼, 텅스텐, 금)를 포함한 모든 광물에 적용되며, 특히 분쟁 및 고위험 지역(CAHRA)에서 조달되는 광물에 대한 실사를 강화합니다.

3. 정책 내용

분쟁 광물 사용 방지:
[회사명]은 분쟁 지역에서 채굴되는 광물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배제하며, 분쟁 광물 사용 시, 해당 광물이 분쟁 자금으로 사용되지 않았음을 증명합니다.
공급망 실사를 통해 광물 원산지를 추적하고, 분쟁 광물 사용 여부를 확인합니다.
공급망 실사:
[회사명]은 OECD 분쟁 광물 가이드라인에 따라 공급망 실사를 실시하고, 위험 평가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공급업체에 대한 실사를 통해 책임 있는 광물 조달 정책 준수를 요구하고, 필요한 경우 시정 조치를 요구합니다.
인권 존중:
[회사명]은 광물 채굴 과정에서 아동 노동, 강제 노동, 인권 유린과 같은 인권 침해를 방지하고, 지역 주민들의 권리를 존중합니다.
지역 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합니다.
환경 보호:
[회사명]은 광물 채굴로 인한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를 실천합니다.
환경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친환경적인 채굴 기술을 도입합니다.
투명성 및 공개:
[회사명]은 책임 있는 광물 조달 정책 및 실사 결과를 공개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합니다.
정기적으로 공급망 실사 결과를 보고하고, 개선 활동을 추진합니다.
4. 실행 및 관리

[회사명]은 본 정책의 실행을 위한 내부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임직원 교육을 실시합니다.
책임 있는 광물 조달 담당 부서를 지정하고, 정기적으로 정책의 효과성을 평가합니다.
공급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공급망 개선을 위한 공동 노력을 추진합니다.
5. 결론

[회사명]은 책임 있는 광물 조달 정책을 통해 지속 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을 약속합니다. 본 정책은 지속적으로 개선되며,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입니다.

부록:

관련 법규 및 규정
공급망 실사 절차
이해관계자 소통 계획
Responsible Mineral Sourcing Policy
1. Introduction

[Company Name] pursues ethical and sustainable management and establishes a responsible mineral sourcing policy to minimize negative impacts such as human rights violations, conflict financing,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in the mineral sourcing process. This policy complies with the OECD Due Diligence Guidance for Responsible Supply Chains of Minerals from Conflict-Affected and High-Risk Areas and related international norms, aiming to realize transparent and responsible mineral sourcing throughout the supply chain.

2. Scope of Application

This policy applies to all employees of [Company Name] and all stakeholders participating in the supply chain. It applies to all minerals, including 3TG (Tin, Tantalum, Tungsten, Gold), and particularly strengthens due diligence for minerals sourced from Conflict-Affected and High-Risk Areas (CAHRA).

3. Policy Content

Prevention of Conflict Mineral Use:
[Company Name] minimizes or eliminates the use of minerals mined from conflict areas, and when using conflict minerals, proves that the minerals have not been used for conflict financing.
Mineral origin is traced through supply chain due diligence, and the use of conflict minerals is verified.
Supply Chain Due Diligence:
[Company Name] conducts supply chain due diligence in accordance with the OECD Due Diligence Guidance and establishes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systems.
Supplier due diligence is conducted to require compliance with the responsible mineral sourcing policy, and corrective actions are required if necessary.
Respect for Human Rights:
[Company Name] prevents human rights violations such as child labor, forced labor, and human rights abuses in the mineral mining process and respects the rights of local residents.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is strengthened, and contributions are made to local community development.
Environmental Protection:
[Company Name] minimizes environmental destruction caused by mineral mining and practices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complied with,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ining technologies are introduced.
Transparency and Disclosure:
[Company Name] discloses the responsible mineral sourcing policy and due diligence results and communicates with stakeholders.
Supply chain due diligence results are reported regularly, and improvement activities are promoted.
4.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Company Name] establishes an internal management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policy and conducts employee training.
A responsible mineral sourcing department is designat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is evaluated regularly.
Cooperation with suppliers is strengthened, and joint efforts for supply chain improvement are promoted.
5. Conclusion

[Company Name] promises to build a sustainable supply chain and fulfill its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its responsible mineral sourcing policy. This policy will be continuously improved and develop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Appendix: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Supply chain due diligence procedures
Stakeholder communication plan

  1-10. B 홈페이지에 위 내용 기재 여부 확인 (적용 시 URL 첨부해야 함)

  1-11. C 독립된 제삼자 감사 회사를 통해 재무, 회계, 법률적인 완전함을 갖춘 제련소로부터 공급받는지 질의

  1-12. D. 책임 있는 조달에 대한 실사 조치
           (공급사 평가 진행 여부를 묻는 부분입니다. A항에 정책이 있으니 정책에 대한 문서화가 요구됩니다.)

책임 있는 조달 실사 보고서 예시
책임 있는 조달 실사 보고서
[회사명]

[보고서 작성일]

1. 서론

[회사명]은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해 책임 있는 조달 실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보고 기간] 동안의 실사 결과 및 개선 활동을 요약하고, 책임 있는 조달에 대한 [회사명]의 노력을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2. 실사 범위 및 방법

대상 범위:
[대상 공급업체 또는 원자재 범위 명시]
[분쟁 및 고위험 지역(CAHRA) 관련 활동 명시]
실사 방법:
[설문 조사, 현장 실사, 문서 검토, 제3자 감사 등 구체적인 방법 명시]
[국제 기준 및 가이드라인(OECD 가이드라인 등) 준수 여부 명시]
[위험 평가 및 관리 시스템 설명]
3. 실사 결과

주요 위험 식별:
[인권, 노동, 환경, 윤리 등 각 분야별 주요 위험 요인 명시]
[고위험 공급업체 또는 지역 명시]
[위험 수준 및 심각성 평가 결과 제시]
공급업체 준수 현황:
[공급업체별 준수율 또는 평가 결과 제시]
[주요 위반 사항 및 개선 필요 사항 명시]
[우수 사례 및 모범적인 공급업체 소개]
4. 개선 활동 및 결과

시정 조치 계획:
[식별된 위험 및 위반 사항에 대한 시정 조치 계획 명시]
[구체적인 목표, 실행 일정, 책임 주체 명시]
[공급업체 협력 및 지원 방안 명시]
개선 활동 결과:
[시정 조치 이행 현황 및 개선 효과 제시]
[공급업체 역량 강화 및 지속적인 개선 노력 명시]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및 반영 결과 제시]
5. 결론 및 향후 계획

주요 성과 및 개선점:
[책임 있는 조달 실사를 통한 주요 성과 요약]
[향후 개선이 필요한 부분 및 과제 제시]
향후 계획:
[지속적인 실사 및 모니터링 계획 명시]
[공급망 투명성 및 책임성 강화 계획 명시]
[이해관계자 참여 및 협력 확대 계획 명시]
6. 부록

[공급업체 목록]
[실사 체크리스트 및 평가 기준]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결과]
[기타 관련 자료]

본 보고서의 내용은 회사의 실제 운영 상황과 공급망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는 기밀 정보 또는 영업 비밀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무단 복제 또는 배포를 금지합니다.
Responsible Sourcing Due Diligence Report

[Company Name]

[Report Date]

1. Introduction

[Company Name] conducts responsible sourcing due diligence to build an ethical and sustainable supply chain. This report summarizes the due diligence results and improvement activities during the [reporting period] and transparently discloses [Company Name]'s efforts for responsible sourcing.

2. Due Diligence Scope and Methodology

Target Scope:
[Specify the scope of target suppliers or raw materials]
[Specify activities related to Conflict-Affected and High-Risk Areas (CAHRA)]
Due Diligence Methodology:
[Specify specific methods such as surveys, on-site inspections, document reviews, third-party audits]
[Specify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and guidelines (e.g., OECD Guidelines)]
[Describe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system]
3. Due Diligence Results

Key Risks Identified:
[Specify key risk factors in each area such as human rights, labor, environment, ethics]
[Specify high-risk suppliers or regions]
[Present risk level and severity assessment results]
Supplier Compliance Status:
[Present compliance rate or assessment results by supplier]
[Specify major violation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troduce best practices and exemplary suppliers]
4. Improvement Activities and Results

Corrective Action Plan:
[Specify corrective action plans for identified risks and violations]
[Specify specific goals, implementation schedule, responsible parties]
[Specify supplier cooperation and support measures]
Improvement Activity Results:
[Present implementation status of corrective actions and improvement effects]
[Specify supplier capacity building and continuous improvement efforts]
[Present results of stakeholder feedback and reflection]
5. Conclusion and Future Plans

Key Achievements and Improvements:
[Summarize key achievements through responsible sourcing due diligence]
[Present areas and challenges that need further improvement]
Future Plans:
[Specify plans for continuous due diligence and monitoring]
[Specify plans to enhance supply chain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Specify plans to expand stakeholder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6. Appendix

[Supplier List]
[Due Diligence Checklist and Evaluation Criteria]
[Stakeholder Feedback Results]
[Other relevant materials]
Disclaimer:

The content of this repor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pany's actual operating cond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ply chain.
This report is prepared for informational purposes and does not bear legal responsibility.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report may be confidential or trade secret, so unauthorized reproduction or distribution is prohibited.

 

  1-13. (E) 관련 공급업체에 분쟁광물 설문조사 실시 유무 확인
            - 공급사 평가에 CMRT에 대한 설문 자료에 대한 진행 여부가 포함되어 있으면 좋습니다.

  1-14. (F) 협력사의 실사 정보를 자사의 기준에 맞추어 대 실시하는지 확인.
            - 공급사 평가에 CMRT에 대한 설문, 실사 자료 공급 유무가 필요.
            - 해당 자료가 위 책임 있는 조달에 대한 실사 조치에 해당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면 유리합니다.

  1-15. (G) 정보 검토 프로세스에 대한 개선 조치 관리 (CAPA) 유무 확인
            - CAPA에 대한, 즉 시정 및 조치에 대한 절차서를 첨부(영문) 하여 회신.

 

  1-16. (G) 분쟁광물 공개서의 제출의 유/무
           - 이 부분은 대기업의 자료를 벤치마킹 하셔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일렉트로룩스(Electrolux), BAT(British American Tabacco)

             

2. Smelter List 탭

 

    (Smelter Look-Up, 에서 이미 CMRT관련 등록망에 부합하는 제련소에 대한 정보가 있습니다. 해당 내용 참조)

 

3. Checker 탭

    해당 탭의 용도는 필요한 정보가 모두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탭입니다.

    작성 후 모든 요구항목이 충족되어 있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긴 글을 읽어 주신 모든 분에게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