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 / 2025. 2. 24. 16:07

오젬픽, 위고비의 기원 - 아메리카 독 도마뱀, 힐라의 괴물 (Gilla monster)

반응형

보톡스가 상한 통조림, 소시지의 미생물의 독을 통하여 많은 한국 여성들의 외모를 가꾸는데 기여를 했다면, 2024년도는 위고비와 오젬픽의 트렌드가 왕성한 해였습니다. 해당 약품을 통한 다이어트를 선언한 인플루언서도 있었죠.

 

목차

    다이어트, 당뇨병에 모두에 효능이 있는 이 물질은 어디서 기원했을까요?

    제목과 같이, 힐라의 괴물 (Gilla Monster) 인 아메리카 독 도마뱀의 독소로부터 추출한 성분으로 GLP-1의 분해를 억제하여 당뇨병 및 과체중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1980년대, 독에 대한 애착을 가진 생화학자 존 피사노와 젊은 소화기내과 전문의 장 피에르 라우프만은 미국 남부와 멕시코 북부에서 자생하는 느릿느릿한 파충류인 힐라몬스터의 독 있는 도마뱀 독을 연구하고 있었습니다. 

    1990년대에 피사노, 라우프만, 그리고 동료 존 엥 (Jon Eng)은 엑센딘-4(Exendin-4)라고 불리는 호르몬 유사 분자를 발견했습니다. 이것은 GLP-1과 동일한 수용체에서 작용하여 인슐린 분비를 자극했습니다.

    흥미롭게도 엑센딘-4는 체내에서 빠르게 대사되지 않아 당뇨병 치료제로 유용할 수 있었습니다.

    엥(Eng)은 이것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지만, 제약 회사들은 독 있는 도마뱀의 호르몬 모방체를 사람들에게 투여하고 싶어 하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에이 근무하던 의료 센터조차도 특허 출원을 도와주지 않았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더보기....

     

    Gilla Monster - Source (https://www.zoonewengland.org/media/1518676/gillamonster-gallery3.jpg

    *주 1. 멕시코와 가까운 지명 특성상, G는 H로 발음이 되어 길라가 아닌 힐라로 불려집니다.

     

    당뇨병 치료를 위한 여정

    년도 학자 이름 공헌
    19세기 클로드 베르나르 경구 및 정맥 포도당 내성 차이 규명 시도
    1922년 프레더릭 밴팅, 찰스 베스트 인슐린 발견 (포도당 사용 조절)
    1932년 장 라바르 인슐린 분비 자극 위장관 호르몬 ("인크레틴") 확인
    1960년대 연구자들 인크레틴 효과가 인슐린 반응의 약 2/3 담당 규명, GIP 호르몬 확인
    1980년대 스베틀라나 모이소프 GLP-1 유전자 클로닝, GLP-1 호르몬 확인 (인슐린 분비 자극)
    1980년대 존 피사노, 장 피에르 라우프만 힐라몬스터 독 연구 시작
    1990년대 존 피사노, 장 피에르 라우프만, 존 엥 엑센딘-4 호르몬 발견 (GLP-1과 동일 수용체에서 작용)
    1990년대 노보 노디스크 장시간 지속형 GLP-1 유사 약물 개발 시작 
    (쥐 실험 통해 GLP-1의 혈당 조절 및 체중 감소 효과 확인)
    1990년대 연구자들 뇌의 GLP-1 수용체 존재 및 식욕 억제 기능 규명
    2010년 노보 노디스크 리라글루티드 (빅토자) 미국 FDA 승인 (체중 감소 효과 향상, 여전히 매일 주사 필요)
    2017년 노보 노디스크 세마글루타이드 (오젬픽) 승인 
    (주 1회 주사, 뇌 GLP-1 수용체 표적화 개선, 체중 감소 효과 증대)
    2021년 노보 노디스크 고용량 세마글루타이드 (위고비) FDA 승인
    (단독 비만 치료제, 약 15% 체중 감소 효과)

     

    아무리 좋은 약도, 그 부작용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위고비의 부작용

    FDA에 기재된 해당 의약품의 설명서를 확인해 보니, 아래와 같은 부작용이 기재되어 있었습니다.

     

    • 갑상선 C세포 종양의 위험 [경고 및 주의사항 (5.1) 참조]
    • 췌장염 [경고 및 주의사항 (5.2) 참조]
    • 당뇨병성 망막병증 합병증 [경고 및 주의사항 (5.3) 참조]
    • 인슐린 분비 촉진제 또는 인슐린 병용 투여 시 저혈당증 [경고 및 주의사항 (5.5) 참조]
    • 급성 신장 손상 [경고 및 주의사항 (5.6) 참조]
    • 과민반응 [경고 및 주의사항 (5.7) 참조]

    추가로 표시기재에 아래 내용에 대한 위험문구를 작성하게끔 되어 있네요.

    경고: 갑상선 C세포 종양 위험

    전체 박스 경고는 처방 정보 전문을 참조하십시오.

    설치류에서 세마글루타이드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노출에서 갑상선 C세포 종양을 유발합니다. 
    세마글루타이드로 유발된 설치류 갑상선 C세포 종양의 인간 관련성이 결정되지 않았으므로 WEGOVY가 인간에게 갑상선 수질암(MTC)을 포함한 갑상선 C세포 종양을 유발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5.1, 13.1).

    WEGOVY는 MTC의 개인 또는 가족력이 있는 환자 또는 다발성 내분비 종양 증후군 2형(MEN 2) 환자에게 금기입니다. MTC의 잠재적 위험 및 갑상선 종양 증상에 대해 환자에게 상담하십시오 (4, 5.1).


    의료기기와 의약품은 이러한 부작용으로 인한 위험 과 처방 및 사용 시 얻는 이익의 비교에서 사용되어집니다.

     

    의사와 상담 후 결정을 내리시고, 최대한 운동으로 체질 개선하시는 부분이 좋습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